요독증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CRF에서 강아지 빈혈 치료 _ 강아지 만성신부전 합병증과 치료 6 ■ CRF에서의 빈혈의 치료 빈혈의 원인이 확인되면 그에 맞는 치료를 병행하는데요, 만성신부전에서 빈혈은 다양한 요인이 작용할 수 있으니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도 좋겠죠. 우선시 되어야 할것은 무엇보다도 정확한 빈혈의 원인과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구요. 빈번한 채혈은 아가들에게 좋지 않겠죠. 막둥이도 혈검때 쌤이 아주 조금만 채혈을 합니다. 위장관출혈은 위장관합병증 파트에서 다시 다룰게요. 보통은 가스트린에 의한 위산도 증가로 염증과 출혈을 유발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위염치료와 인바인더 겸용으로 sucralfate를 처방하는 병원도 있더군요. 요독으로 인한 것은 질소혈증 ([∞◆ Ayin-sof/▒▒ 땡이신장일기] - 요독증·질산혈증의 개념과 개선 및 치료방법_ 만성신부전 합병증과 치.. CRF에서 강아지 빈혈 원인 _ 강아지 만성신부전 합병증과 치료 5 막둥이는 이미 epo에 대한 무반응을 한 번 보인터라 빈혈에 대해 더 신경이 쓰입니다. 빈혈 자체로도 내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빈혈의 대한 대략적인 내용 후에 만성신부전과 연관지어 글을 이을까 합니다. ■ 빈혈(Anemia) 혈액이 조직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것으로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의 결핍으로 정의됩니다. 빈혈의 일반적인 진단은 CBC를 통해 (RBC, Hgb, Hct or PCV) 할 수 있으며, 혈액검사 수치는 >> [∞◆ Ayin-sof/▒▒ 땡이신장일기] - CBC와 말초혈액 도말검사에서 적혈구(RBC) 수치 _혈액검사 항목과 수치 이해하기 2 주로 빈혈수치라고 불리는 Hct(PCV) 수치로 빈형의 심각도를 분류한 연구가 있습니다. (Basic Approach to Anemi.. CBC와 말초혈액도말검사에서 적혈구, 조혈호르몬 _혈액검사 항목과 수치 이해하기 2 빈혈을 보기 전에 빈혈을 진단하는 혈액검사 항목을 먼저 보고 갈께요. CBC(Complete Blood Count)라고 보통 부르는 전혈구검사, 총혈구검사는 혈구의 숫자나 농도등으로 영양상태나 다른 질환을 진단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혈액검사에요. 그중 적혈구와 혈소판을 보구요. 말초혈액도말검사를 통해 보는 적혈구 수치도 확인해요. ■ 적혈구(RBC, Red Blood Cell, erythrocyte) 혈구 세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적혈구는 산소운반에 특화된 세포로 대부분 헤모글로빈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주로 신장에서 합성되는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에 의해 생성이 촉진되구요. 골수의 조혈모세포가 전적아구의 과정을 거쳐 핵을 방출하고, 내부를 헤모글로빈으로 채워 망상적혈구를 거쳐.. CRF에서 신장 섬유화 진행 감소제 루비날_강아지 만성신부전증 보조제 이번엔 병원에 갔다가 강매당한 루비날(Rubenal)입니다. 아조딜 판매사인 베토퀴놀(Vetoquinol)사에서 제조한 것이구, 이번에 한국에 정식수입되었어요. 얼마전에 카페에서도 루비날에 관한 질문이 있었는데, 출시된지 얼마 안 되서 나중에 다른 분들 사용기 보고 결정해야 겠다 싶었는데...쌤이 막둥이가 받을 수 있는 치료가 별로 없으니 먹이면 좋을 것 같다고 하셔서...생각지도 않게 집으로 데리고 왔네요;;; 우선 아주 간단하게, 루비날은 신장의 섬유화 진행을 억제해 신부전의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제에요. 주 약리 작용 물질은 약용대황(Rheum Officinale)으로 재료상에는 약용 대황 뿌리 추출물 16%로 표기되어 있네요. 위는 사구체성, 세뇨관성, 전신성 고혈압이 사구체경화증과 .. BUN과 크레아티닌(Creatinine)_혈액검사 항목과 수치 이해하기 1 반려견이 어떤 임상징후를 보여 병원을 찾으면 어느 기관의 문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화학검사(Serum Chemisty)를 하게됩니다. 우선 신장질환의 경우 가장 많이 보셨을 BUN과 Creatinine을 알아볼건데요. 둘 다 질소화합물로 이런 것들이 혈중에 정상보다 많이 있는 것을 질소혈증(Azotemia)이라고 합니다. ■ BUN(Blood Urea Nitrogen) 혈액속에 있는 요소질소(UN)의 농도에요. 요소(urea)는 단백질의 대사산물로, 탈아미노에 의해 생긴 암모니아가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간에서 요소로 전환된 후 신장으로 이동해 배출됩니다. 막둥이 병원 기준 정상범위는 9~29mg/dl입니다. ▶증가원인 : 식이 단백질 증가, 위장관 출혈, 혈량저하, 쇼크, 탈수, 기아, 신장질환, 신.. 요독증·질산혈증의 개념과 개선 및 치료방법_ 강아지 만성신부전 합병증과 치료 1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부터 포스팅하려고 했는데 순서가 ㅎㅎ 엉망이네요. 천천히 잘 정리할 수 있겠죠^^;; 만성신부전의 수의학정보는 우선 [만성신부전증과 치료전략] 을 참고하세요. 막둥이처럼 만성신부전으로 아픈 아가들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네요. 만성신부전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요독증부터 시작하겠습니다. ■ 요독증(Uremia) 요독증은 신장질환이나 비정상적인 신장기능때문에 소변으로 배출되어야할 노폐물이 배설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들을 말하는데요. 원래는 배설되어야할 대사산물이 혈액중에 저류하면서 발생하는 장애를 의미했지만 지금은 신장의 배설기능 장애 뿐 아.. 신부전증 강아지가 먹는 아조딜과 크레메진 뭔지는 알고 먹자! 토욜에 혈검을 했는데...거의 한달만에 병원에 간 듯해요. 수액처치 받고 급하게 수치 좀 내려 두고서는 사실 제 맘대로 안 간거죠. 원래 그럼 안 되겠죠^^;; 토요일에 병원에 간 이유는 며칠전 산책갔다가 이상한걸 주워 먹더니 입에서 다시 암모니아 냄새가 나더라구요. 그리고는 밥투정을 시작하구 말이죠. 헉 이녀석 수치 올라갔구나 ㅜㅜ 하며 맘졸이며 병원으로 갔더랬어요. 3월 10일 막둥이 혈액검사결과 - BUN 112 (2월 15일 103) - Cre 6.2 (2월 15일 7.6) - PHOS 0.6 (2월 15일 10.4) - 그외 칼륨 수치가 올라감 검사 전날 밥 안 먹어서 잔뜩 먹은 고구마와 무 때문인것으로 추정 또 BUN 170 이런거 날올까봐 걱정했는데...그건 아니네요. 수액 처치 받으려고 했.. [스크랩] 만성신부전증 치료전략 만성 신부전증의 치료 전략 1. 개요 □ 정의: 만성 신부전증(Chronic renal failure; CRF)은 장기간에 걸쳐 요 농축부전(개: SG < 1.035 고양이:< 1.030)과 질산혈증(azotemia)을 보인 질환으로 개와 고양이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신장질환이다. CRF는 (1) 적어도 3개월이상 진행된 신장 손상-사구체 여과율(GFR)의 감소를 동반하지 않을 수도 있음, (2) 적어도 3개월이상 GFR의 50%이상 감소된 신부전증을 말한다. 요독증(Uremia)이 신부전의 결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CRF가 있는 모든 환자에서 요독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CRF는 원인에 상관없이 신장에 회복 불능의 병소를 가지는 상태를 말하며, 원발요인이나 신전성/신후성 요인을 교정해도..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