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양이 심부전

(3)
이뇨제(diuretic)의 종류와 작용기전 및 부작용 심부전인 반려동물이 함께한다면 이뇨제 이름을 한번씩은 들어보셨을거에요. 이뇨제는 심부전, 간질환, 신장질환 등에서 부종이나 체액을 줄이는데 사용하고, 이온균형과 독소 등을 제거하기 위한 요량 증가나, 혈량을 줄여 고혈압 치료 하는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아래는 신장의 기능 단위인 네프론(Nephron)입니다. 점선을 기준으로 위쪽이 피질(cortex), 아래쪽이 수질(Medulla)입니다. 처음 혈관이 뭉쳐있는 곳이 사구체(glomerulus), 이곳을 지나 근위세뇨관 (Proximal tubule), 헨레고리(Loop of Henle), 원위세뇨관(Distal tubule), 집합관(Collecting duct)을 거치면서 소변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신장에서 나트륨을 재흡수할 때 수분을 흡수하는데, 이..
고양이의 심장병으로 불리는 비대성 심근증 (HCM, 비후성 심근증) _ 심근증(cardiomyopathy) 02 ■ 비대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HCMP, Myocardia) 비대성 심근증은 대동맥협착이나 고혈압 그 외 심장질환 없이 심장근육, 특히 좌심실벽이 두꺼워지는 심장근육질환으로 심장 이완기 기능부전입니다. 확장성 심근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과는 반대로 심실내강이 좁아집니다. 심장 수축기능은 유지하지만, 심박출량이 적고, 혈액저류가 발생해 심부전의 증상을 보입니다. 심부전으로 이행되기도 하지만, 증상없이 돌연사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반려 고양이 자연사의 큰 원인이기도 합니다. 심장질환 고양이의 85%가 비대성심근증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벽이 두꺼워져 방이 좁아져 버린거구요. 심장 이완기엔 폐동맥과 대정맥의 혈액..
타우린 부족? 개와 고양이의 확장성 심근증 (DCM) _ 심근증(cardiomyopathy) 01 ■ 확장성 심근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 심장이 비대해지는 것 때문에 비대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비후성심근증)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확장성 심근증은 심근이 아닌 심실내강이 커지고, 심근은 얇아져 심장 능력이 저하되는 것입니다. 심장이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혈액을 신체로 잘 공급하는 것이죠. 근육이 부족하면 운동능력이 떨어지는 것처럼 심근이 얇아지면 심장이 펌프를 잘 못 하게 되고, 혈액 공급에 차질이 생기겠죠. 이 상황이 반복되면 심장기능 뿐 아니라 신체 다른 조직의 기능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또 심장에는 판막들이 있는데, 심실내강 확장으로 판막도 제대로 닫힐 수 없게 되어 폐쇄부전(valve insufficien..